스마트폰은 이제 초등학생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은 필수 기기가 되었습니다. 그러나 지나친 사용은 집중력 저하, 수면 장애, 학습 부진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의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 특히 게임, 유튜브, 메신저 등 다양한 앱을 접하는 시기이기에 올바른 디지털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의 장단점, 부작용 사례, 그리고 초등학생을 위한 시간 관리 실천 전략을 소개합니다.
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, 왜 문제가 될까?
2025년 기준, 국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85%를 넘었고,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은 2~3시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문제는 단순한 사용량이 아니라 사용 목적의 편중에 있습니다.
- 집중력 저하
- 수면 장애
- 사회성 저하
- 정서 불안
따라서 스마트폰 사용 자체를 문제시할 것이 아니라, ‘어떻게’ 사용하는지를 지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초등학생 스마트폰 사용 시간 관리법
① 스마트폰 사용 규칙 정하기
시간대 설정, 사용 전 활동 완료 필수 등
② 주간 스마트폰 플래너 만들기
사용 내용 기록과 습관 점검
③ 유해 콘텐츠 필터링 앱 활용
‘구글 패밀리링크’, ‘스마트안심’ 등
④ 대체 활동 마련
독서, 산책, 가족 놀이 등 비디지털 활동 강화
⑤ 시각화된 약속 도구 사용
사용 약속 카드, 면허증 등 활용
스마트폰, 교육 도구로 바꾸는 방법
① 교육용 앱 추천
Duolingo, Mathpid, 코드몽키 등
② 디지털 도서관 활용
국립청소년도서관, 학교 전자도서관 등
③ 가족이 함께 보는 콘텐츠
유튜브 키즈, 브레인TV 등
④ 사용 후 대화하기
영상 내용 공유, 학습화 유도
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.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방식과 환경을 누가 설계하느냐입니다. 부모가 주도적으로 기준을 만들고, 아이와 함께 약속을 정하면 스마트폰은 해로운 도구가 아닌 유익한 학습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. 지금, 우리 아이의 디지털 습관을 바로잡는 첫 걸음을 시작해보세요.
*스마트폰 예방교육 사이트 안내 : https://www.iapc.or.kr/